아주 특별한 시간 한개마을
아주 특별한 시간 한개마을
성주 한개마을은 600여 년의 역사와 함께 옛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처럼 요란스럽거나 북적이지 않아 좋다.
그 중 진사댁은 마을에서 유일하게 고택 체험이 가능한 곳이고, 웰빙 시골밥상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진사댁은 한개마을에서 고즈넉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한개마을에서 가장 아름답고 정감이 넘치는 곳은 마을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진사댁이다.
너른 앞마당과 철따라 고운 꽃이 피고 지는 화단, 우물과 장독대, 어느 하나 정감가지 않는 곳이 없다.
개인적으로 고택의 아름다움을 가늠하는 요소는 ‘현재 사람이 살고 있느냐’이다. 자연은 사람의 손이 닿거나 인위적인 요소가 더해지면
서서히 망가지지만, 집은 사람의 손길과 온기가 닿아야 제 모습을 당당히 유지하기 때문이다.
진사댁이 아름다운 이유는 사람이 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진사댁에는 팔순의 노부부와 함께 딸 이경민 씨가 머물고 있다.
진사댁의 역사는 조선 정조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안채의 상량문으로 보아 정조 혹은 철종 때 건립한 가옥으로 추정하며, 건립 당시 안주인이 안동 예안 출신의 진성 이씨여서 예안댁으로 불렸다.
진사댁으로 불린 것은 그 후의 일이다.
이국희가 집을 매입해 들어와 살면서 1894년 조선 왕조의 마지막 소과에 합격해 진사가 되자 진사댁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진사댁은 안채와 사랑채, 새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기와집이며, 사랑채와 새사랑채는 초가집이다.
안채 왼편으로는 ‘ㄱ’자 형의 새사랑채가 서 있고, 앞으로는 3칸의 사랑채가 넓은 마당을 바라보고 있다.
안채 앞에는 다양한 크기의 옹기들이 오붓하게 모여 있는 장독대와 우물, 넓은 화단이 남아 있다.
고택 가운데 눈여겨볼 것은 새사랑채다. 새사랑채는 진사댁 건물 가운데 가장 늦게 지어졌다.
여성의 공간인 안채와 남성의 공간인 사랑채 사이에 새사랑채를 배치한 것도 특이하지만 마루와 방, 창고가 각각 1칸씩 총 3칸으로 ㄱ자 형태로 지어진 점
계자난간을 단 누마루 같은 마루를 낸 점이 이색적이다.
특히 방으로 들어가는 문 양쪽의 불발기창에 ‘卍’ 모양을 멋지게 내었는데, 다른 민가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문양이다.
진사댁은 한개마을의 수많은 고택 가운데 유일하게 고택 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고택 체험은 사랑채와 새사랑채에서 가능하다.
새사랑채는 2명이 오붓하게 쓸 수 있는 1칸짜리 작은 방이지만, 마루가 있어서 별도의 공간을 공짜로 얻는 듯하다.
사랑채는 방 2개와 대청으로 이루어졌고, 너른 앞마당이 있어 가족 단위로 머무르기 좋다.
숙박료는 새사랑채가 하루 5만 원이며, 사랑채는 8만 원이다.
진사댁에서는 직접 담근 장과 손수 기른 채소를 재료로 한 웰빙 시골밥상을 맛볼 수 있다.
진사댁 종부 모녀가 차려주는 정성스러운 밥상을 지나친다면 아쉬움이 클 듯하다
진사댁에서는 해마다 겨울이면 메주를 만드느라 매우 분주하다.
올 겨울에도 직접 콩을 삶아 메주를 만들었는데, 경북 청도에서 들여온 콩 13가마니가 사용되었다.
메주 만드는 풍경을 보기 시작한 것은 콩이 거의 삶아질 무렵이었다.
활활 타오르던 아궁이의 열기가 서서히 사그라지고, 가마솥에서 5~6시간 동안 푹 삶은 콩에서는 모락모락 김이 피어오르고 있었다.
맛보라며 삶아낸 콩을 한 움큼 집어주는데, 그 고소함이 황홀할 정도다.
전통적인 조리법에는 규격화한 레시피가 따로 없는 것 같다.
그저 오랜 경험에서 나온 자연스러움이 그 집만의 전통을 이어주는 게 아닐까 싶다.
진사댁의 메주 만들기도 그렇다. 메주를 만드는 데는 콩의 품질, 콩을 삶는 시간과 불의 세기 등 여러 변수가 있다.
콩의 재배지가 어딘지에 따라 맛이 다르고, 콩을 삶는 시간과 불의 세기에 따라 메주의 성공과 실패가 좌우된다.
집집마다 메주를 만드는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