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 문화를 잇다 용인 협동조합문화와함께

지역과 문화를 잇다 용인 협동조합문화와함께

지역과 문화를 잇다 용인 협동조합문화와함께

지역과 문화를 잇다 용인 협동조합문화와함께

푸르름 가득한 국립세종수목원 이색 온실이 주는 특별한 경험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의 용담호수, 과거에는 그저 동네 주민들과 낚시꾼들이 가볍게 찾는 숨은 명소였지만

이제는 점점 여행자들 사이에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어떻게 한적했던 이 호수가 떠오르는 관광지로 자리 잡은 걸까?

사실 용인은 도시와 농촌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독특한 지역이다.

고층 아파트 단지와 평화로운 전원 풍경이 공존해, 특히 원삼면은 산과 저수지 그리고 논밭이 함께 어울리는 고요한

자연 환경으로 귀농·귀촌인과 전원생활자, 그리고 많은 예술가들에게 매력적인 거주지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용인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바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 등 대규모 개발과 함께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이런 개발 바람 속에서 몇몇 문화예술인들은 로컬의 정체성과 문화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삼면이 삭막한 산업 기지가 아니라 첨단 기술, 전통,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지는 균형 잡힌 지역으로 성장하길 희망했던 것.

이를 실현하기 위해 2020년에는 ‘문화누리원삼’이라는 민간단체가 결성되었고, 이후 관광두레 사업에 참여하며 지역 관광 활성화에 뜻을 모았다.

문화누리원삼의 주요 활동은 자연과 문화를 잇는 데 초점을 두었다. 중심에는 숲과 습지가 멋드러지게 자리 잡은 용담호수가 있었다.

2021년 4월, 이곳에 ‘뚝마켓’이라는 이름의 특별한 수공예 마켓이 생겨났고, 첫해부터 지역의 문화예술인, 활동가, 생태 환경 전문가,

농민 그리고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면서 유의미한 시작을 알렸다.

이후 협동조합 형태로 발전하며 ‘협동조합문화와함께’를 설립했고, 활동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

뚝마켓은 단순한 마켓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았다. 캠핑, 친환경, 로컬 가치까지 다양한 테마가 더해지며 정기적으로 운영되었고

용인시의 행사와 축제에서도 ‘찾아가는 뚝마켓’으로 선보여졌다. 이러한 활동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뿐만

아니라 용담호수를 중심으로 환경 보존과 생태적 가치 공유에도 큰 역할을 했다.

덕분에 2022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한 관광두레 스토리 공모전에서 ESG 부문 우수상까지 수상하는 성과를 올렸다.

사람들이 흔히 묻는다. 뚝마켓의 ‘뚝’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 정답은 여러 가지다.

‘뚝딱뚝딱’ 작업하듯 만든 수공예품, 옛 정취를 품은 ‘뚝방’, 그리고 지역 예술가들의 끈기를 상징하는 ‘뚝심’까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뚝마켓은 크기나 규모를 자랑하기보다는 내실 있는 콘텐츠로 방문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용인의 마지막 대장장이 김영환 장인이나 용인시 공예 명장 1호인 마순관 도예가 같은 지역 명인들이 적극 참여하며 품격 높은 품목을 선보인다.

이곳에서는 오래된 고재를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옻칠 작품, 전통 방식으로 발효된 쪽 염색 제품 등 좋은 품질의 상품을 만날 수 있고, 농산물부터 외국인이 만든 특별한 디저트까지 먹거리 또한 다양하다.

또한 뚝마켓에서는 대장간 체험, 물레 돌리기, 자개 작업, 쪽 염색 등 일반적으로 접하기 힘든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특별함을 더한다. 그뿐만 아니라 시기에 따라 무료 체험도 진행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