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 힐링캠프 어때요 고창 선운사 템플스테이
1박 2일 힐링캠프 어때요 고창 선운사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가 시작된 지 어느덧 10년.
요즈음 템플스테이는 시기와 취향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종류도 다양하고 내용도 풍성해졌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도솔산 기슭에 자리 잡은 1500년 고찰 선운사는 한국인이라면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만한 국가대표급 사찰이다.
붉은 동백이 절정을 이룬 봄날의 선운사에 한 번쯤 가보지 않은 사람이 없고, 선운사 앞에선 장어구이를 먹고 복분자주를 마셔야 한다는 게 관례가 됐다.
문학의 향기도 진하다.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안했고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더라는 서정주의 <선운사 동구> 는 가장 널리 알려진 시. 김용택과 최영미 시인도 선운사 동백을 소재로 시를 썼고
가요 쪽으로는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로 시작하는 송창식의 <선운사> 가 유명하다.
우리에게 선운사는 아주 친숙한 관광지라는 의미다. 그런데 관광객이 모두 빠져나간 뒤 고즈넉한 절간 마당에
홀로 서서 지는 해를 바라본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고요한 새벽, 어둠을 뚫고 울려 퍼지는 장엄한 예불 소리에 감동의 눈물을 흘려본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
템플스테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휴식형은 저녁예불과 새벽예불에 참여하고 공양시간과 취침시간을 지키는 것 외의 나머지 시간을 자유롭게 지내는 형태다.
책을 읽고 산책도 하고 낮잠도 자면서 아무것에도 방해받지 않고 재충전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체험형은 예불, 공양, 명상, 포행, 울력 등 사찰의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경험해볼 수 있도록 1박 2일 또는 2박 3일 코스로 정해진 프로그램을 따른다.
휴식형과 체험형을 묶어서 신청할 수도 있다. 선운사에는 그밖에도 연말연시의 해맞이 템플스테이
5월의 동백 시문학 템플스테이, 7~8월의 하계방학 템플스테이, 9~10월의 차꽃따기 템플스테이 등 특정 시즌에 마련되는 테마형 템플스테이도 있다.
어떤 유형을 선택하든 참가자가 준비할 것은 수건과 세면도구, 그리고 열린 마음뿐이다.
‘참된 나를 찾아 떠난다’는 거창하고 원대한 포부가 굳이 필요할까? 그저 잠시 일상을 벗어나 오랜만에 휴식다운 휴식을 취하고 싶다는 소박한 마음이면 충분하다.
체험형 1박 2일 코스는 토~일요일, 2박 3일 코스는 금~일요일에 진행된다.
첫날 오후 4시부터 일정이 시작되므로 오후 3시~3시 30분 사이에 도착해서 예약을 확인하고 숙소를 배정받아야 한다.
참가자 수가 적을 때는 혼자서 방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2~3명이 한 방을 사용하게 된다.
짐을 풀고 수련복으로 갈아입은 후 4시부터는 참가자들이 모두 모인 가운데 기본적인 사찰 예절을 배우게 된다.
합장하는 법과 절하는 법을 포함한 사찰 예절 습의가 끝나면 30분간 다 함께 사찰 투어에 나선다.
간혹 비가 너무 많이 온다든가 해서 외부 일정이 불가능할 때는 간단히 자기소개 시간을 갖기도 한다.
참가자들 면면은 아주 다양하다. 불자도 있고, 크리스천도 있다.
홀로 온 사람이 있는가 하면, 모녀가 함께 혹은 장성한 자녀와 함께 참여한 부부도 있다.
외국 유학 중 방학을 이용해 찾았다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군 입대를 앞두고 마음을 정리하고 싶어 찾아왔다는 청년도 있다.
선운사는 외국인 템플스테이가 가능한 사찰 중 한 곳이기도 해서 방학 중에는 특히 많은 외국인들이 단체로 머무는 경우도 많다.
오후 5시 40분부터는 저녁공양이 시작된다.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가장 기대하면서 동시에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면 아마도 마지막 남은 고춧가루 하나까지 남김없이 먹어야 하는 발우공양 시간일 터.
하지만 선운사에서는 뷔페식으로 개인 접시에 먹을 만큼 덜어 먹도록 되어 있으니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자기가 먹은 그릇은 자기가 깨끗이 설거지하는 것이 원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