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조기 소리 요란하던 빛나던 그 시절 강화도의 재발견

직조기

직조기 소리 요란하던 빛나던 그 시절 강화도의 재발견

직조기 소리 요란하던 빛나던 그 시절 강화도의 재발견

부산 여행 무더운 여름을 슬기롭게 보내는 여행지

강화는 직물의 도시였다.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대구와 어깨를 견줄 만큼 그 위상도 대단했다.

심도직물, 평화직물, 이화직물 등 당시 유명한 직물 업체들이 모두 강화도에 터를 잡았다.

직물 공장 종업원이 강화읍에만 4000여 명에 이를 정도였다.

그러나 대구를 중심으로 현대식 섬유 공장이 들어서고 나일론 등 인조 직물이 등장하면서 강화 직물 산업은 사양길에 들어섰다.

노동자와 공장 기계가 하나둘씩 섬을 떠났다. 현재는 소창 공장 10여 곳만이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당시 방직기 소리가 요란하던 공장들은 제 기능을 잃은 채 시간 속에 갇혔다. 몇몇은 폐가처럼 방치됐고, 몇몇은 건물 일부만 남았다.

또 몇몇은 새로운 주인을 만나 문화 공간으로 변신했다. 조양방직도 그중 하나다.

1933년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조양방직은 강화 최초의 인견 공장이었다. 조양방직이 문을 열면서 강화

직물 산업은 가내 수공업에서 기계화로 바뀌었고 몸집을 키웠다. 세월이 흘러 강화 직물이 쇠락하자 조양방직도 가동을 멈췄다.

건물은 단무지 공장, 젓갈 공장을 거쳐 폐가로 전락했다.

흉물스럽게 스러져가던 건물은 지금의 주인을 만나 거대한 예술 작품이 됐다.

990㎡(약 300평)가 넘는 공장터와 건물 골조를 그대로 살려 시간의 이야기를 곳곳에 남겼다.

음료와 케이크를 판매하지만, 카페라고 딱 잘라 말하기엔 규모 자체가 어마어마해 보는 이를 압도한다.

허물어져 가던 벽면은 근사한 미술관이며 영화관이 됐고, 기다란 작업대는 커피 테이블로 바뀌었다.

기계도 사람도 떠난 공간은 중국과 유럽 등지에서 찾은 골동품으로 채워졌다.

깨진 유리창을 간직한 영국제 문짝, 체코의 옛 기차에 달렸던 둥근 거울,

겨울마다 몸을 뒤집느라 애쓴 붕어빵 기계가 원래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듯 자연스럽게 놓였다.

1960~7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평화직물은 2018년 초 소창체험관으로 모습을 바꿨다.

소창은 기저귀나 행주로 사용하던 면직물이다. 1956년 문을 연 평화직물은 소창과 더불어 화려한 문양의 인견을 주로 생산했다.

체험관에서는 베틀과 직조기, 1800년대 재봉틀, 평화직물에서 직조된 직물 등 옛 방직 산업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 직접 베틀을 이용해 소창을 짜보거나 이미 만들어 놓은 소창에 다양한 도장을 찍어 나만의 손수건으로 간직할 수도 있다.

체험관 옆에는 1938년 지어진 한옥이 있다. 적산가옥과 한옥을 반반 섞어놓은 분위기다.

대청마루에 앉아 마시는 따끈한 차 한 잔이 온몸을 녹여준다.

뒤뜰에 가면 보송보송 솜털뭉치가 달린 목화가 밭을 이루고 있다.

강화 구도심을 걷다 보면 야트막한 언덕에 서 있는 한옥 한 채가 눈에 들어온다.

절집 또는 큼지막한 양반집처럼 보이는 이 건물의 정체는 바로 대한성공회 강화성당이다.

1900년 세워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 교회로 알려졌다. 2001년에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다.

강화성당은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의 의미를 담아 터를 잡았다. 멀리서 보면 큰 배 한 척이 강화읍을 내려다보며 앉아 있는 듯하다.

돌계단을 따라 오르면 외삼문과 내삼문이 나타난다. 내삼문은 절집 천왕문에 해당하는데 종루를 겸하고 있다.

종은 당좌(撞座·종을 칠 때 망치가 닿는 자리)에 새겨진 십자가가 아니면 절의 범종과 구별이 쉽지 않다.

지금의 종은 1989년 다시 만들어졌다. 애초 영국에서 들여온 종은 1943년 일본이 강제로 공출해갔다.

내삼문을 지나면 기와를 얹은 본당이 한눈에 든다. 한국의 전통 건축 양식을 따라 지어져 익숙하고 편안한 모습이다.

팔작지붕을 올려다보면 ‘천주성전(天主聖殿)’이란 현판이 눈에 들어온다. 용마루 위에 얹은 십자가가 은은하게 종교색을 드러낸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