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함께하는 한북정맥 남양주 남쪽의 여정
자연과 함께하는 한북정맥 남양주 남쪽의 여정
30도 이상의 무더위와 열대야가 다가오고 있으며, 장마철이 곧 뒤따를 예정입니다.
더위와 습기로 인해 여름철 최고의 고난이 예상되어 미리 컨디션과 체력 관리를 챙기는 것이 좋겠습니다.
건강에 좋은 트레킹 코스를 찾던 중 남양주가 눈에 띄었습니다.
전철을 이용해 떠나는 트레킹 여행으로 남양주의 남쪽 코스를 소개합니다.
여정은 팔당역에서 시작하여 남양주역사박물관을 관람한 후, 예봉산(해발 683m)과 적갑산(해발 560m)을 지나 운길산역까지 이어집니다.
총 약 10㎞의 거리입니다.
교통카드로 떠나는 간편한 여행
남양주는 서울과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너무 가까워 여행이라는 느낌이 덜할 수도 있지만, 인근의 가평, 양평, 춘천 등 유명 관광지 덕분에 주말이면 많은 레포츠 애호가들이 모이곤 합니다.
등산복을 입고 자전거나 인라인스케이트를 가져오는 사람들이 주말 오전 팔당역에서 내리는 모습은 흔한 광경입니다.
2007년 중앙선 팔당역 개통 이후, 한강 자전거도로와 예봉산 일대 트레킹 코스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팔당역 앞 광장에는 여행 안내도가 있으며, 각 코스마다 방향과 거리를 표시한 표지판이 있어 길을 찾기 쉽습니다.
팔당역에서 예봉산 등산로 입구까지는 도보로 약 15분 정도 걸립니다.
등산 전, 남양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추천하며, 팔당역 옆의 남양주역사박물관을 방문해보세요.
구석기시대부터 근대까지 남양주의 역사를 전시하고 있으며, 특히 봉선사의 대종 문양과 탁본에 관한 전시는 인상적입니다.
서울이 한양 또는 한성으로 불리던 시기에, 한양으로 가던 선비들은 이곳 팔당에서 임금에게 예를 표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에서 예봉산의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또한, 조선시대 나무 벌채권을 가진 ‘예빈시’ 관아와 관련되어 예빈산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예빈시에서 이 산의 나무를 수종사에 공급하였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현재도 팔당2리 마을 주민들은 예봉산 산신각에서 매년 2월과 9월에 산신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예봉산으로 오르는 길은 7부 능선을 기준으로 나뉩니다.
초기 등산로는 완만하고 넓어 다리를 풀기에 좋습니다.
7부 능선에 이르면 경사가 가팔라지고 계단이 나타납니다.
천천히 오르든 빨리 오르든 힘든 것은 매한가지이니 자주 멈춰 풍경을 즐기십시오.
예봉산 정상에 오르면 한강과 북한강, 한북정맥이 눈앞에 펼쳐집니다.
동쪽에서는 운길산이 북한강으로 이어지며 놀라운 경관을 선사합니다.
강 건너 우뚝 솟은 용문산도 인상적입니다.
남양주의 최남단에서 북쪽으로 바라보는 경관은 인상적입니다.
문안산, 화야산, 고래산 등 산들이 웅장하게 펼쳐져 있습니다.
이처럼 굴곡진 산 풍경이 남양주를 대변합니다.
남양주는 전체 면적의 70% 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과거 현대 이전에는 생계가 어려운 지역으로 여겨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