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구름마을 풀쌈만찬으로 화합을 꿈꾸는 곳
영동 구름마을 풀쌈만찬으로 화합을 꿈꾸는 곳
제천 옥순봉 조선명탐정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뛰어내리다
각 지역마다 관광자원이 대폭 확대되어 마음만 먹으면 별의별 경험을 다 할 수 있게 된 요즘이다.
그래서 웬만한 레포츠나 신생 축제에는 심드렁한 마음부터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당신이 구름마을의 존재를 알게 된다면 따분한 일상에서 색다른 활력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매달 풀쌈만찬을 통해 이웃과 정을 나누고 화합의 가치를 실천하는, 어느 ‘착한 귀농인들’을 말이다.
영동 매곡면과 대항면을 잇는 괘방령로를 따라 달리다 보면 도로 오른편으로 작은 저수지가 눈에 들어온다.
이름은 강진저수지. 우리가 찾아가려는 구름마을의 시작점이다. 길가에 외롭게 선 ‘한국농어촌공사’ 표지판을 만나면 잘 찾아왔다는 증거다.
어귀에 차를 대고 저수지 방향으로 곧장 10여분을 걸으면 이장 댁에 닿는다.
나무너와를 인 황토집엔 ‘구름마을 살가운 집’이라고 적힌 현판이 달려 있다. 이곳이 구름마을임을 알리는 유일한 표식이다.
잠시 후 가족 단위로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한다. 이름조차 생소한 풀쌈축제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풀쌈축제는 구름마을이 매년 5월에 여는 시그니처 이벤트다.
마을 주민들이 매달 셋째 주 토요일마다 자체적으로 즐기던 풀쌈만찬을 연례행사화한 것이다.
이때는 도시민들을 초대해 풀을 뜯고 만찬을 즐기는 모든 과정을 함께한다.
축제라고는 하지만 규모 면에서 비교적 단출하고 소박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내부 인력과 소수 조력자의 힘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여덟 번째 풀쌈축제는 올해 5월 27일에 열렸다.
이장 댁은 구름마을 마을회관이자 풀쌈축제가 시작되는 행사장이다.
앞마당엔 햇빛을 피할 수 있는 천막과 채취한 풀을 씻을 수 있는 수도가 설치돼 있고 뒤쪽엔 꽤 널찍한 복숭아밭이 자리한다.
이 복숭아밭은 풀쌈축제의 일환으로 선행되는 복숭아농사체험을 진행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오후부터 몰려든 가족단위 참가자들은 익숙한 듯 이장과 인사를 나눈 뒤 자연스레 복숭아밭으로 향한다.
이제 막 형체를 갖추기 시작한 어린 복숭아가 아무런 지장 없이 자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일이 어려울 법도 한데 어린 꼬마들도 손쉽게 해낸다.
알고 보니 이들은 서울의 한 복지재단을 통해 캠핑봉사를 해온 전력이 있단다.
구름마을과 인연을 맺은 지도 벌써 5년이 넘었다나.
한 시간에 걸친 복숭아농사체험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풀쌈축제 준비에 돌입한다.
그 첫걸음은 뒷산에서 식용 풀을 직접 채취하는 것. 저마다 봉지나 바구니 따위를 들고 이장의 설명에 따라 먹을 만큼 풀을 채취하기 바쁘다.
언뜻 보면 쉬운 일이나 풀쌈축제를 처음 경험하는 사람이 이 과정을 빠릿빠릿하게 소화해내기란 생각보다 어렵다.
이장이 함께 돌아다니며 먹는 풀의 종류와 효능을 알려주지만 설명을 들으며 먹을 만큼의 풀을 뜯는 데는 시간이 다소 걸리기 때문이다.
진도를 잘 따라가려면 욕심내지 말아야 한다.
한 자리에 오래 머물다간 헛것을 가져가게 되는 수가 있다.
일단은 이장의 설명을 들으며 해당 풀의 샘플을 채취하고, 이후에 혼자 다니며 양을 추가 확보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이장이 소개하는 먹는 풀의 종류는 상상을 초월한다.
아카시아 잎이나 산딸기, 망개잎, 쑥, 산초, 오디 등은 익숙하니 그렇다 쳐도 토끼풀과 단풍잎이 거론될 땐 충격이 크다.
믿기지 않지만 단풍잎은 ‘아이셔’ 맛이다.
아이들도 새콤한 맛에 반했는지 여러 장 따다가 입에 물고 다닌다.
사람들이 잘 모를 뿐, 이곳의 모든 풀들은 나름의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다.
잘못해서 독초를 섭취할까 우려했지만 이장은 손을 휘휘 젓는다.
“이 주변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가공을 거치면 대부분 한약재로 쓰이는 것들이에요.
제가 풀을 30년 이상 먹었으니까 말만 잘 따르면 괜찮아요. 2만 명 이상 여길 다녀갔지만 탈이 난 사람은 없었거든요.
화장실에 가게 될 순 있는데, 그건 우유 먹고 배가 아픈 것과 같은 경우에요.
오히려 식사 전 먹는 쌈 한두 개는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