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물머리 물래길 두물머리가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두물머리 물래길 두물머리가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두물머리 물래길 두물머리가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두물머리 물래길 두물머리가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옛 철로와 추억의 한강길을 씽씽 양수역 자전거길

두물머리는 남한강과 북한강의 두 물줄기가 만나는 지역이다.

환경정책기본법, 수도법, 하천법 등 각종 법으로 개발이 제한되어 온 곳이라 자연환경이 잘 보전되어 있다.

두물머리의 때 묻지 않은 풍경을 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두물머리 물래길을 걷는 것이다.

두물머리 물래길은 두물머리 인근을 한 바퀴 도는 10km 걷기 길이다.

양수역에서 출발해 세미원, 두물머리, 다온광장(두물경), 양수리환경생태공원, 남한강 자전거길 등 두물머리 주변 생태 여행지를 두루 들른다.

연꽃정원 세미원, 황포돛배와 느티나무가 한갓진 분위기를 자아내는 두물머리,

한강 자생식물이 자라는 두물지구 생태학습장, 갈대가 무성한 갈대쉼터 등 두물머리가 들려주는 생태 이야기가 강물 따라 흐른다.

두물머리 물래길은 두물머리 일대를 시계 방향으로 도는 10km 걷기 길이다.

출발점은 지하철 경의중앙선 양수역. 양수역 역사 내에서 물래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래길은 세미원, 두물머리, 두물지구 생태학습장,

양수리환경생태공원, 북한강철교 등 두물머리 일대 가볼 만한 곳을 고루 들른다.

흩어져 있던 여행지들이 ‘두물머리 물래길’이라는 이름 안에 묶인 것이다.

물래길의 목적은 빨리 완주하는 것이 아니다.

연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에 귀 기울이거나 느티나무 거목 아래에서 다리쉼을 하거나 두물머리 강물을 감상하며 느릿느릿 걸어야 한다.

눈이 가장 호사를 누리는 곳은 세미원이다. 세미원은 물래길에서도 대표적인 생태 관광지다.

연꽃 정원은 15년 전만 해도 상류에서 밀려온 쓰레기로 가득했다.

상수원 보호구역 철망에 쓰레기가 걸리며 수질은 나빠져만 갔다.

이에 주민과 환경단체가 수질정화 능력이 뛰어난 연을 심기 시작했고, 경기도의 지원을 받으며 2004년 세미원이 문을 열었다.

6월 중순부터 8월에는 홍련과 백련을 포함해 수십 가지 연꽃이 핀다.

불그스름한 홍련과 새하얀 백련이 끝 간 데 없이 펼쳐진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이를 촬영하기 위해 대포 같은 카메라를 들고 찾은 이들도 여럿이다.

풍류를 즐기는 선비가 된 듯 연꽃 정원을 거닐고 연향을 깊숙이 들이마시자.

그사이 ‘관수세심(觀水洗心) 관화미심(觀花美心)’, 즉 물을 보며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며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는 세미원의 정신을 체화할 수 있다. 세미원은 유료로 입장해야 한다.

세미원을 건너뛰고 싶다면 양수역-양서문화체육공원-두물머리 위쪽 공영주차장 코스를 선택한다.

금강산에서 출발한 북한강과 강원도 태백 금대봉 기슭 검룡소에서 출발한 남한강이 두물머리에서 처음 만난다.

두물머리는 예로부터 풍경이 뛰어났다.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과 석범 이건필은 이곳의 수려한 경치를 그림으로 남겼다.

그뿐인가. 서울로 향하는 배들에게는 넉넉한 쉼터였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