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치 골목으로 간다 동인천 삼치구이 골목
삼치 골목으로 간다 동인천 삼치구이 골목
마음 헛헛한 날, 가벼운 주머니로도 김이 모락모락 나는 푸짐한 삼치구이를 맛볼 수 있는 골목이 있다.
삼치는 물론 다양한 생선 구이를 맛볼 수 있어 지역 주민들의 사랑방 노릇까지 톡톡히 한다.
부드러운 삼치구이 한 점에 막걸리 한잔 더하면 부러울 것이 없는 그곳, ‘동인천 삼치구이 골목’을 소개한다.
먹을 것도 많고 얘깃거리도 많은 인천 여행. 풍요로운 인천 여행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인천 의 역사도 필요하다.
근현대사를 관통하며 한반도 전역에 새겨진 다양한 생채기들을 품고 있기 때문이리라.
푸짐한 얘깃거리를 들려주는 인천, 그가 품은 또 하나의 맛, 동인천 삼치구이 골목으로 이 겨울을 데워줄 맛 여행을 떠나봤다.
동인천역 7번 또는 8번 출구로 나와 <뚜레쥬르> 옆 골목을 따라 직진하면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이 보인다.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건물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면 동인천 삼치거리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인천집>과 닿는다. 그 옆으로 <인하의 집>도 자리한다.
이곳에는 삼치구이를 비롯해 다양한 생선구이와 안주거리들을 맛볼 수 있는 삼치집들이 십여개 모여있다.
언젠가 30개가 넘는 삼치집들로 일렁이던 시절도 있었단다.
삼치구이 골목의 전성기를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지금 이 골목이 작아진 느낌일라도 좋은 시절을 모르는 외지인에게는 신세계다.
옹기종기 자리한 삼치집들 중 <인천집>을 찾았다. 삼치구이와 조림을 반반씩 맛볼 수 있는 ‘반반 삼치’로 유명해진 집이다.
후문에서는 바로 옆에 자리하고 정문에서는 건너 건너에 자리한 <인하의 집>과는 형제 사이다.
평일 낮 시간이기 때문일까. 사람이 별로 없다. 삼치구이와 조림, 카레구이 등 다양한 맛의 삼치가 기다리고 있다.
간단하게 한잔 하러 온 이들은 삼치구이나 반반으로도 충분하다.
식사를 겸해 푸짐하게 맛보고 싶은 이들은 반반 삼치와 계란말이, 파전이 한 번에 나오는 ‘인천집 코스’를 주문하면 된다.
삼치구이를 맛보기 전 먼저 ‘삼치’부터 살펴보자. 고등어랑 비슷한 생김새다. 맞다. 삼치는 고등어과에 속한다.
그들 중 유일하게 비린내가 없는 생선으로 유명하다. 더불어 등푸른 생선의 대표 주자로 DHA가 풍부하다.
비타민 B2 함유량이 높아 피부병과 심장병 예방에도 효과적이란다.
10월부터 기름이 오르기 시작해 이듬해 2월까지, 찬바람 부는 지금이 제철이다.
부드러운 속살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입안에 감겨든다.
좋은 삼치 고르는 방법도 알아두자. 다른 생선과 마찬가지로 부드러운 것보다는 배와 몸통 전체가 단단하고 탄력있는 것이 좋다.
비늘의 광택도 꼭 체크해야 한다.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광택이 나는, 보기 좋은 삼치가 맛도 좋다.
상에 올라온 정돈된 ‘삼치’의 모습만 보아온 기자에게는 고등어와 별반 차이 없어 보이는데 통째로 보면 약간의 차이는 있다.
그래도 생김새와 영양성분 비슷한 삼치와 고등어. 민감한 혀를 지닌 미식가들은 삼치가 고등어보다 수분이 많아 살이 부드럽다고 평한다.
쇠고기로 치자면 고등어는 ‘등심’, 삼치는 ‘안심’이랄까. 삼치가 고등어보다 기름기가 적다. 영양소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삼치는 비타민 D가, 고등어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