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포진교육박물관 풍금 소리로 되살리는 학창 시절
덕포진교육박물관 풍금 소리로 되살리는 학창 시절
1996년 김포에 개관한 덕포진교육박물관은 김동선과 이인숙 관장이 운영하는 사립 박물관입니다.
두 관장은 과거에 교직을 천직으로 여기며 많은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지금도 박물관에서 여전히 교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박물관은 두 관장의 깊은 사랑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90년, 이인숙 관장이 교통사고로 시력을 잃었을 때, 김동선 관장은 ‘다시 학생들을 만나게 하겠다’는 다짐으로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모은 교육 자료와 퇴직금을 기반으로 박물관이 만들어졌습니다.
1층에는 ‘덕포진교육박물관의 무지개 스토리’ 코너가 있어 박물관 탄생 과정과 두 관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눈먼 아내여 걱정하지 마오. 내가 당신의 눈이 되어줄게… 사랑하는 아내여, 당신이 행복하다면 내가 더 바랄 것이 없소.
당신은 영원한 3학년 2반 선생님…”이라는 글귀는 김동선 관장의 제자가 시인으로 등단하며 쓴 작품입니다.
이 아름다운 사랑 없이는 덕포진교육박물관이 탄생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1층의 3학년 2반 교실은 두 관장의 사랑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이 교실은 이인숙 관장이 사고 전에 담임하던 학급이며, 김동선 관장이 가장 중점적으로 꾸민 공간입니다.
이곳에서는 관람객들과 함께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마치 시간 여행을 하듯 교실에 들어서면, 빛바랜 태극기, 교훈과 급훈이 쓰인 액자, 암녹색 칠판과 하얀 분필, 낡은 교단과 풍금, 조개탄 난로 등으로 1960~1970년대의 분위기가 물씬 풍깁니다.
두 관장은 관람객들을 3학년 2반으로 인도하여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데, 이를 통해 새로운 추억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인 관람객과 반장을 뽑고 수업을 시작합니다.
특히 이인숙 관장이 풍금을 치며 부르는 동요 ‘과수원 길’, ‘섬집 아기’는 마음을 따뜻하게 합니다.
김동선 관장은 학창 시절의 이야기들을 들려주며 책보, 검정 고무신, 볏짚으로 만든 축구공 등을 통해 기억을 떠올리게 합니다.
소품들을 착용하고 어린 시절의 동네 놀이를 재현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흥미로운 옛이야기에 반짝이는 눈빛을 보이고, 어른들은 추억에 잠기며 미소를 짓습니다.
수업이 끝나면 박물관 내 다른 전시를 둘러봅니다.
1층에는 학창 시절의 추억이 담긴 인성교육관이 있고, 2층에는 교육사료관이 있으며, 3층의 농경문화관까지 다양한 전시물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협소한 공간 안에 약 7000여 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교육과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특히 오는 10월 31일까지 열리는 특별 기획전 ‘동심부터 향수까지 우리 동요&가곡 이야기’는 시대별 동요와 다양한 악기를 주제로 한 전시로 더욱 풍성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덕포진교육박물관의 입장료는 어른 4000원, 청소년(초중고생) 2000원, 유아 1500원이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