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설악 단풍의 명소 흘림골과 주전골을 걷다

남설악 단풍의 명소 흘림골과 주전골을 걷다

남설악 단풍의 명소 흘림골과 주전골을 걷다

남설악 단풍의 명소 흘림골과 주전골을 걷다

평화 관광의 뉴 페이스 고성통일전망타워

44번 국도의 끝은 강원도 양양이다.

44번 국도의 대미를 장식하는 것은 인제군 북면과 양양군 오색리를 잇는 한계령이다.

한계령은 남설악을 이어주는 고갯길이다.

남설악은 설악산 국립공원의 남쪽으로 대승령, 귀때기청봉, 대청봉으로 이어지는 설악산 서북 능선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한계령을 넘어 동해를 바라고 하염없이 내려가다 보면 남설악 최고의 단풍 명소인 흘림골과 주전골을 만난다.

올 가을도 아름다운 단풍이 펼쳐질 주전골과 흘림골을 찾아본다.

흘림골과 주전골은 한계령휴게소와 오색약수터를 잇는 깊은 골짜기다.

설악산 서북 능선의 남쪽이자 곰배령으로 잘 알려진 점봉산 북쪽에 자리 잡은 계곡이다.

흘림골과 주전골을 즐기는 방법은 다양하다.

흘림골에서 등선대와 용소폭포를 거쳐 주전골까지 완주하는 코스는 총 6.6킬로미터로 네다섯 시간 정도 소요된다.

흘림골 입구에서 등선대까지는 오르막길, 등선대에서 용소폭포까지는 내리막길, 용소폭포에서 오색약수까지는 평탄한 길이다.

체력이 허락한다면 흘림골과 주전골을 동시에 즐기는 완주 코스가 제격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흘림골과 주전골을 따로 가도 된다.

흘림골은 흘림골 공원지킴터에서 등선대까지 왕복 2.4킬로미터로 약 두 시간에서 두 시간 반 정도,

주전골은 오색약수터에서 용소폭포까지 왕복 6.4킬로미터로 약 두 시간 반 정도 소요된다.

두 골짜기 코스가 두 배가 넘는 거리 차이에도 시간이 비슷하게 소요되는 것은,

흘림골은 등선대까지 오르막인 반면 주전골은 계곡을 따라 평탄하게 걷기 때문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양양에서 원통(인제)을 잇는 시외버스가 한계령 정상과 오색약수 두 곳에

정차하기 때문에 흘림골을 오르려면 한계령휴게소에 내려 약 3.5킬로미터를 걸어 내려와야 한다.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 흘림골을 오를 때 흘림골 입구 주변으로 일부 주차가 가능하다.

하지만 단풍 시기에는 등산객들이 많이 몰려 이른 새벽부터 주차할 곳이 마땅치 않으므로 가급적이면 서두르는 것이 좋다.

또한 흘림골이든 주전골이든 왕복하지 않을 경우 다시 돌아와야 한다.

흘림골과 주전골은 도로를 따라 5.3킬로미터, 흘림골에서 용소폭포까지는 2.3킬로미터, 용소폭포에서 주전골 입구인 오색약수까지 3킬로미터 정도다.

등산 뒤에 다시 걸어야 하는 거리치고는 만만치 않다.

대리운전이나 택시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용이 제법 든다.

흘림골과 주전골의 단풍 절정 시기는, 흘림골이 10월 중순부터 시작해 주전골은 10월 하순까지 단풍의 향연이 펼쳐진다.

강원도 인제에서 나란히 달리던 44, 46번 국도는 한계삼거리에 이르러 작별을 하고, 46번 국도는 고성과 속초로, 44번 국도는 바로 한계령을 넘어 양양으로 이어진다.

힘겹게 오르던 한계령 정상까지도 잠시 아찔한 내리막길이 쉼 없이 이어진다.

몇 굽이를 돌아 내려가다 보면 흘림골의 들머리인 흘림5교에 이른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