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뿐하게 떠나는 도심 옆 섬 여행

가뿐하게 떠나는 도심 옆 섬 여행

가뿐하게 떠나는 도심 옆 섬 여행

가뿐하게 떠나는 도심 옆 섬 여행

삼치 골목으로 간다 동인천 삼치구이 골목

찬바람은 여전하지만 새순이 돋아나는 걸 보니 봄이 가까이 왔다.

가끔은 봄기운 품은 보드라운 바람이 뺨을 스치기도 한다.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조금은 애매한 시기, 가뿐하게 떠날 수 있는 서울 근교 섬 여행을 준비했다.

강화도가 품은 석모도와 교동도가 주인공이다.

인천이 품은 강화도는 서울 근교의 고마운 섬이다.

반도와 섬을 잇는 초지대교와 강화대교 덕분에 ‘섬’이 주는 별다른 감응이 없긴 하지만 그만큼 부담없이 닿을 수 있어 찾는 이들이 많다.

게다가 품은 역사는 어찌나 많은지. 고인돌부터 마니산 참성단과 고려궁지, 그리고 해안을 따라 자리한 진·보·돈대들을 따라가다 보면 하루가 부족하다.

강화도 해안을 따라 자리한 진과 보는 군사상 중요한 해안 변방에 설치해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던 군사주둔 공간을 뜻한다.

돈대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영토 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설치한 초소를 말한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으로 높게 하고 안은 낮게 해 포를 설치해둔다.

강화도 해안 전역에 자리한 군사시설은 한강 줄기와 닿은 ‘강화도’의 숙명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아주 잠시 살펴보았을 뿐인데 강화도에 대한 이야기가 넘쳐난다. 오늘은 문화·역사 공부가 주인공이 아니다.

강화 본섬 역시 드라이브 코스로도 빠지지 않지만 하나하나 살펴보자면 욕심이 나기에 강화도가 품은 석모도와 교동도를 둘러보기로 했다.

강화도가 품은 섬 석모도. 아직 배로만 들어설 수 있다.

2017년 8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인 삼산연육교가 놓이면 더 편하게 석모도 입도가 가능하겠지만 ‘배’를 타고 떠나는 섬여행의 맛은 약해지지 않을까 싶다.

강화도 외포리 선착장에서 석모도 석포나루까지는 1.5km, 금방이다. 거짓말 조금 보태자면 눈 깜짝할 사이, 10분 정도면 도착한다.

평일에는 정시와 30분, 주말에는 수시로 강화 외포리 선착장에서 출발한다.

오는 4월5일까지 운항 예정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30분까지. 일출, 일몰 시간에 비례해 운항 시간은 변경된다.

왕복 배삯은 대인 2000원, 소인 1000원. 차량은 왕복 1만6000원, 경차는 1만4000원이다.

먼저 낙가산 보문사에서 마애석불을 보고 하리선착장에 들렀다 민머루 해변으로 가기로 했다.

오는 3월15일까지 석모리 선착장과 석포나루 구간은 도로공사가 진행되는 바람에 약간 동선이 꼬였지만 큰 무리는 없었다.

석모도를 달리다 보면 무슨 섬에 이렇게 너른 들녘에 있을까 신기해진다. 석모도의 평야는 간척의 결과다.

송가도·매음도·어유정도·석모도 각각의 섬들이 간척을 통해 지금의 석모도가 되었다.

석모도 낙가산 서쪽 중턱에 있는 보문사(普門寺)는 양양의 낙산사, 남해의 보리암과 더불어 한국 3대 관음성지로 꼽힌다.

‘보문’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사바세계로 나온 관세음보살의 광대무변한 원력을 뜻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