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오롯한 양반문화의 본

아직도 오롯한

아직도 오롯한 양반문화의 본

아직도 오롯한 양반문화의 본

구룡포부터 호미곶까지 사색하며 걷는 포항 여행 코스

예로부터 “양반의 고장”이라 불려온 안동에서는 지금도 어딜 가나 동족마을과 종택을 만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이던 류성룡의 고향인 풍산면 하회마을은 몇 백이 넘은 전통가옥이 즐비할 뿐만 아니라 자연풍광 또한 빼어나게 아름답다.

사실 오늘날의 하회마을은 새삼 구구한 설명이 필요치 않을 정도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방문 이후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의 수도 더욱 증가했다.

하지만 하회마을에 가본 이는 많아도 그곳을 제대로 본 사람은 드문 편이다.

대부분 양진당 충효당 하동고택 남촌댁 북촌댁 등 보물이나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들만 찾아다니기 때문이다.

물론 그런 고택들의 문화재적 가치는 크지만 유명한 곳만 보고 가기엔 안동 하회마을에는 곳곳에 스며있는 소박한 멋과 독특한 정취가 아름답다.

하회마을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고샅길인데 이 길을 한가로이 누비면서 느껴지는 마을의 정취가 더 오래도록 기억된다.

가문의 위세와 집의 규모를 감안하면 육중한 돌담이 제격일 것 같지만 의외로 돌담은 거의 없고 흙담이 대부분이다.

이유는 마을의 지세(地勢)가 “행주형”(行舟形) 이어서 돌담을 쌓으면 무거워 가라앉기 때문이라고 한다.

마을에 우물을 파지 않고 강물을 끌어다 쓰는 것도 역시 배에 구멍(우물)을 뚫으면 배가 가라앉는다는 믿음 때문인데

그 믿음과 지혜 덕에 고샅길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는 생각에 새삼 감사함이 느껴진다.

하회마을의 여러 절경 가운데 으뜸은 강 건너 부용대에서의 조망이다.

이 절벽 위에 올라서면 물길과 산자락과 마을이 장관처럼 펼쳐지고 강촌(江村)인 이 마을에는 짙은 안개가 자주 깔리는데

겨울철에 안개가 깔리면 풀과 나뭇가지마다 미세한 물방울이 얼어붙어 눈꽃처럼 하얀 상고대가 만발한다.

조선시대, 서원철폐령이 내려졌을 때에도 보호된 병산서원

하회마을과 이웃한 병산서원도 내친 김에 꼭 들러보자.

류성룡과 그의 아들 류진을 배향한 이 곳은 서원 특유의 엄격함을 갖추었으면서도 전혀 권위적이지 않은 공간 배치를 보여준다.

특히 넓직한 만대루의 누마루에 앉아 바라보는 낙동강과 병산의 풍광은 시간을 까마득히 잊게 할 만큼 절제된 아름다움이 있다.

또한 서원 입구에는 대나무와 짚으로 둘러쳐진 야외 화장실(일명 “머슴뒷간”)이 있어 오가는 이들의 눈길을 끈다.

안동에서 도산서원과 봉화 청량산을 거쳐 낙동강 상류를 따라 북쪽으로 달리는 35번 국도는 “퇴계로” 라 불린다.

안동호와 낙동강을 끼고 이어지는 이 길에서는 차창 밖의 풍경에 잠시도 눈을 뗄 수가 없다.

더욱이 고래등 같은 양반집들이 모여 있는 와룡면 오천리의 오천문화재단지와 도산서원 퇴계종택 등을 거쳐 가는 덕택에 답사 길로도 손색이 없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