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과 초겨울 사이 갈대밭이 그립다면 시화호 우음도

늦가을과 초겨울 사이 갈대밭이 그립다면 시화호 우음도

늦가을과 초겨울 사이 갈대밭이 그립다면 시화호 우음도

늦가을과 초겨울 사이 갈대밭이 그립다면 시화호 우음도

가족탕에서 온천 테마파크까지

갈대는 바람 부는 대로 흔들리지만 제아무리 거센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는다.

한 줄기 갈대에서 연약한 삶을 지탱해주는 한 편의 시를 발견한다.

갈대밭 풍경을 보러 저 멀리 순천만이나 해남의 고천암호, 고흥의 해창만까지 여행을 떠나기 어렵다면 화성시 우음도와 시화호 일대를 주목하자.

쓸쓸한 갈대밭이 황량하게 펼쳐진 벌판 한가운데에서 사색의 즐거움에 젖어보는 것이 이 여행의 의미이다.

정호승 시인의 시집에서 <슬픔의 나무>라는 시를 읽다가 갈대밭 풍경이 그리워졌다.

그때 문득 떠오른 것이 시화호 우음도. 누런 갈대밭, 띄엄띄엄 솟아 외롭게만 보이는 나무들,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찬바람.

시화호라는 대형 인공 구조물 덕분에 ‘대자연의 지평선 풍경’을 만날 수 있다니 세상은 아이러니로 가득하다.

얼마 뒤에는 신도시가 들어설 땅이지만 아직은 자연미가 살아 있어서 좋은 곳, 우음도에서 계절의 변화를 맞이하기로 한다.

갈대밭은 아무래도 오후나 석양 무렵에 찾아가야 제격이다.

태양이 머리 위에 떠 있는 한낮에는 갈대밭의 분위기가 제대로 살아나지 않는다.

갈대는 화려함이 아니라 쓸쓸함의 상징이니 날이 화창하지 않아도 좋다.

햇살과 구름이 번갈아 하늘을 차지하는 변덕스러운 날씨라도 갈대밭 여행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중요한 것은 모처럼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보자는 것이니까.

그리하여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잠시 숨을 고르며 확인해보자는 것이니까.

첫눈이라도 내리길 기대하며 시화호 한가운데에 있는 우음도 갈대밭으로 향하기 전 시간 조정을 위해 한 군데 여행지를 더 찾아낸다.

오전 방문지로 고른 여행 명소는 용주사와 융건릉 인근의 소다미술관이다.

먼저 이곳에서 예술 작품들의 향기로 잠자는 감성을 깨운 뒤 우음도 송산그린시티 전망대에 올라 갈대밭 풍경을 감상하고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인근 갈대밭을 거닐며 낙조를 찍은 뒤 해물칼국수나 활어회 등으로 저녁식사까지 마무리하면 당일 여행치곤 알찬 코스가 될 것이 분명하다.

버려진 찜질방에서 미술관으로 변신. 소다미술관의 탄생 비화다.

화성시 안녕동의 신한미지엔아파트 뒷길에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5년 동안이나 방치되어 흉물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이 구조물은 미국에서 활동했던 건축가 권순업 씨를 만나면서 2015년 4월 소다미술관으로 태어났다.

권순업 씨는 “기존의 것을 부수거나 변형하지 않고 뼈대를 그대로 두어 자연스러운 느낌이 드는 공간으로 완성시키고자 했다”라고 말했다.

그런 이유 때문일까? 이 미술관은 2015년 8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을 수상한 데 이어 10월에는

‘2015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을 수상해서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의 ‘iF 디자인 어워드’,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꼽힌다.

콘크리트 기둥과 뻥 뚫린 벽면의 구조물 사이로 1층에는 전시실과 기념품점, 카페가 들어섰다.

2층에는 항만시설에서나 볼 법한 컨테이너를 3개씩 올렸으며, 각 컨테이너들은 나무데크로 연결되어 있다.

옥상에 해당하는 2층 공간을 이동하다 보면 불가마, 족탕, 남성탕 등이 있던 자리를 표시해놓아 과연 찜질방에서 미술관으로의 대변신을 실감하게 한다.

컨테이너는 본래 화물을 운송, 보관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엄연한 전시실이다.

화성시가 물류 중심 도시라는 점을 상징하기 위해서 갖다 놓은 것이라고 한다.

디자인과 건축을 테마로 한 소다미술관에서는 2015년 4월부터 8월까지 개관전으로 ‘리본(Re:Born)전’을 열었다.

비록 지어지지는 못했지만 미래를 향한 비전을 품고 있는 국내 건축가 73명의 건축 디자인이 재활용 옷걸이에 걸려 소개됐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