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한 수에 절로 느려지는 발걸음 슬로시티 영월 김삿갓
시 한 수에 절로 느려지는 발걸음 슬로시티 영월 김삿갓
영월 옥동천 자락에 있는 김삿갓면은 강원도에서 처음 슬로시티로 지정된 곳이다.
흔히 김삿갓으로 부르는 난고 김병연의 유적지가 있는 곳이다.
땔나무가 없다는 핑계로 길손을 내쫓는 개성의 인심을 비꼬거나, 한자의 운을 빌려 세상사의 흐름을 재미나게 표현한 시구 등 김삿갓의 재치를 엿볼 수 있는 시비와 김삿갓 묘소가 있어 돌아볼 만하다.
유적지 가까이 자리한 난고김삿갓문학관도 들러보자.
김병연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김삿갓의 발자취를 좇아 일생을 바친 정암 박영국 선생의 연구 자료가 전시된다.
서민의 삶이 녹아든 민화를 감상할 수 있는 조선민화박물관, 아프리카 전통 예술을 엿볼 수 있는 영월아프리카미술박물관도 함께 돌아보면 좋다.
영월 가는 길, 중앙고속도로 신림 IC로 나와 주천 방향으로 가는 88번 지방도에 올랐다.
88번 지방도는 한적한 시골길이다.
산모롱이를 따라 돌며 이리저리 비틀거린다.
그리고 그때마다 강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영월에는 강이 많다.
오대산에서 걸음을 시작해 봉평을 지나온 평창강이며, 횡성에서 출발한 서만이강, 서만이강에 법흥계곡 물을 보탠 주천강, 조양강 물길을 이어받은 동강, 평창강과 주천강이 합쳐진 서강…
이 많은 강이 영월 땅 구석구석을 적시며 흐른다.
88번 지방도는 서강을 따라가다 영월 읍내를 지나며 남한강을 따라 달린다.
그리고 청령포에서 옥동천과 나란히 간다.
이 옥동천 자락에 있는 김삿갓면이 강원도에서 처음 슬로시티로 지정된 곳이다.
지난 2012년 국제슬로시티연맹 인증을 획득했다.
마을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김삿갓면은 흔히 김삿갓으로 부르는 난고 김병연의 유적지가 있는 곳이다.
유적지가 자리한 와석리 노루목은 경북 영주시, 충북 단양군과 맞닿은 지역이다.
산이 노루가 엎드린 모양이라고 노루목이라 불린다.
김삿갓은 전남 화순에서 죽었지만 아버지를 찾아 전국을 떠돈 둘째 아들 익균이 주거지인 노루목으로 이장했다.
김삿갓은 1807년(순조 7) 경기도 양주에서 태어났다.
자라면서 글 읽기와 시 쓰기에 남다른 재능을 보인 그는 스무 살 되던 해, 과거에서 홍경래의 난 때 항복한 김익순의 죄상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글을 써 장원을 차지한다.
하지만 뒤늦게 김익순이 자신의 조부임을 안 김병연은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며 큰 삿갓을 쓰고 방랑한다.
유적지 초입부터 김삿갓의 시비가 이어진다.
땔나무가 없다는 핑계로 길손을 내쫓는 개성의 인심을 비꼬거나, 한자의 운을 빌려 세상사의 흐름을 재미나게 표현한 시구 등 김삿갓의 재치를 엿볼 수 있는 시를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성황당 오른쪽 양지바른 언덕에는 김삿갓의 묘소가 있다.
삿갓을 쓰고 유랑한 김병연의 일생처럼 상석이나 비석을 모나지 않은 자연석으로 만들었다.
유적지 가까이 자리한 난고김삿갓문학관도 돌아보자.
김병연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외부에는 김병연의 시를 형상화한 조형물이 있고, 내부에는 김삿갓의 생애와 발자취를 좇아 일생을 바친 정암 박영국 선생의 연구 자료가 전시되었다.
영월은 박물관 고장이다.
김삿갓면에도 돌아볼 만한 박물관이 있다.
김삿갓유적지 가기 전에 만나는 조선민화박물관은 서민의 삶이 녹아든 민화를 감상할 수 있는 곳.